728x90

1. 생활체육이란 : 건강과 체력 증진을 위하여 행하는 자발적이고 일상적인 체육 활동

생활체육의 3요소 : 생활체육 지도자, 프로그램, 시설

 

2. 스포츠에 대해 : 건강한 신체를 기르고 건전한 정신력을 함양하며 질 높은 삶을 위해 자발적으로 행하는 신체활동을 기반으로 하는 사회문화적 행태

 

3. 체력 : 신체적 활동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

 

4. 생활체력 : 일상생활을 영위하는데 필요하느 신체활동 능력

 

5, 체육지도사란 : 학교, 직장, 지역사회, 체육단체 등에서 체육을 지도할 수 있도록 국민체육진흥법 제2조에 따라 스포츠지도사, 건강운동관리사, 장애인스포츠지도사, 유소년스포츠지도사, 노인스포츠지도사 중 자격을 취득한 사람.

 

6. sports for all : 모든 사람들에게 기회를이란 말과 같이 인간이라면 누구나 보편적 권리로서 스포츠를 즐겨함을 의미하는 표어.

 

7. 생활체육의 필요성 : 운동이 부족한 현대사회에서 신체활동을 통해 체력, 건강증진, 사회성 및 공동체 의식 함양, 각종 병리현상 예방 및 스트레스 해소 등

 

8. 생활체육의 역할 : 균형잡힌 복지사회 구현, 예방의학적 차원의 국민 건강 증진, 체력 증진과 세대 간 격차 해소, 인간성 회복과 평생교육 실현

 

9. 생활체육이 사회에 미치는 기능 : 개인, 가족, 직장, 지역사회, 국민의 건강, 복지증진, 스트레스 해소, 공동체 의식 함양, 갈등해소 등의 기능을 하며 스포츠 산업, 미디어 매체 발전 등에 있어서도 기능한다.

 

10. 생활체육의 가치 : 운동, 체력단련 등 건강과 관련된 생리적 가치와 긴장, 불안, 스트레스 완호 등과 관련된 심리적 가치 그리고 책임, 예의, 유대감, 공동체 의식과 관련된 사회적 가치로 정의할 수 있다.

 

11. 스포츠 코칭 : 개인이 지닌 능력을 최대한 발휘하여 목표를 이룰 수 있도록 돕는 일로 개인과 적극적 의사소통, 동기부여 및 스스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일

 

12. 생화체육지도자의 자질(의활투도공칭이) : 사회변화에 순응하여 전문성을 겸비하고 성실, 유능한 생활체육지도자가 필요하다. 갖추어야 할 자질로는 의사결정능력, 활발하고 강인한 성격, 투철한 사명감, 도덕적 품성, 공정성, 칭찬의 미덕, 이론과 실기 능력을 통한 지도.

 

13. 생활체육 지도 원리(철참정보참) : 철학적 기초에 의거 지도, 참가자의 개인차 고려 지도, 정확한 체육 정보 제공, 보다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프로그램 제공, 참가자 간 역동적 상화 관계를 유지토록 지도

 

14. 심리적 안정을 위한 골프 훈련 방법 : 멘탈 라운딩으로 자신이 플레이하는 인지적 과정과 샷하는 모습을 마음으로 그려보고, 경기력의 중요한 요인인 루틴을 활용하여 최상의 인지적, 신체적 상태를 유지한다.

 

15. 루틴 : 어떤 특정한 작업을 실행하기에 앞서 일정한 습관화된 동작으로 신체와 심리상태를 준비하는 과정. 집중력, 자신감 향상, 불안 제거를 할 수 있는 프리샷 루틴과 스윙결과의 감정자각, 결과 수용, 다음 플레이를 위한 해결책으로 포스트 샷 루틴이 있다.

 

16. 생활체육 프로그램의 기획 6단계 : 생활체육 프로그램의 목적 이해 참여자 요구 분석 프로그램의 목적 및 목표설정 계획 실행 평가

 

17. 생활체육 프로그램 개발 단계 : 계획단계 실행단계 평가단계

 

18. 생활체육 프로그램 계획의 구성 요인 : 생활체육 참여자, 지도자, 장소 및 시설, 재정, 종목, 홍보, 안전성

 

19. 생활체육 프로그램 계획의 원리 : 평등성, 창조성, 다양성, 개발성, 목적성, 전문성, 전달성, 편의성, 욕구반영성, 홍보, 평가, 보완

 

20. 생활체육 활성화 방안 : 체육시설의 개방 및 확충, 지역, 연령, 계층별 프로그램 개발 보급, 스포츠 지도자의 효율적 활용 관리, 동호인 조직 활성화, 홍보 및 정보서비스 전문화

 

21. 생활체육 시설의 기능 : 시설대여, 프로그램 서비스, 동호인 클럽 결성, 지도, 상담, 안내 서비스

 

22. 대한체육회 중점 과제

스포츠 사회적 가치 확대 : 민주적 거버넌스 구축 및 재정 확대, 체육인 인권, 교육, 복지, 안전 강화, 공정성 제고, 친환경 스포츠 조성 및 디지털 전환

스포츠 참여 기반 조성 : 생애주기별 스포츠 참여 확대, 소외계층 스포츠 활동 지원, 생활, 전문스포츠 균형발전 기반 마련

국제스포츠 경쟁력 확대 : 우수선수 발굴, 육성 기반 강화, 국제대회 우수성적 달성 지원, 국제스포츠 선진국 위상 강화

 

23. 스포츠 일탈 : 스포츠 환경에서 발생하는 규범 위반 활동으로 원인은 양립 불가능한 가치 지향, 성공 강박, 경쟁적 보상 구조, 역할 갈등 등이 있으며 유형으로는 선수, 관중 폭력 행위, 약물 복용, 부정행위, 조직적 일탈 등

728x90

+ Recent posts